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erver side rendering
- javascript arrow function
- js arrow function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자바스크립트 코뿔소
- es6 symbol
- es6 module
- es6 promise
- javascript spread
- Browser API
- web server vs was
- parcel
- task queue
- JavaScript
- 크롬 익스텐션 개발
- react event bind
- javascript eventloop
- javascript class method bind
- DOM API
- react
- chrome extension development
- es6 destructuring
- javascript destructuring
- 자료구조
- 순차리스트
- 선형리스트
- react lifecycle
- js promise
- es7 async await
- client side rendering
- react class method bind
- Today
- 26
- Total
- 400,407
목록프론트엔드 (37)
비실이의 개발 성장기
javascript에서 Array 나 JSON의 아이템 갯수만큼 반복을 돌며 데이터를 가공하여 무언가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for문을 이용해도 되고... forEach도 있고 여러가지가 있으나 map() 이라는 녀석도 있습니다. Java의 컬렉션 중 Map과는 다른개념 입니다. 그럼 javascript에서 map() 은 어느경우에 이용하느냐... 예제를 만들어서 보겠습니다. mainArray = [1, 2, 3, 4, 5]; 가 있는데... 새로운 subArray를 만들고 싶습니다. 새로운 subArray의 아이템들은 mainArray의 각 인덱스에 있는 아이템 값에 +5를 하여 구성하고 싶습니다. 위와같은 경우를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해봤습니다. 중간에 에러는 줄바꿈 실수로 인한 에러입니..
회사에 입사하고 짜잘한 이슈들을 처리하며 소스에서 hasOwnProperty를 봐오긴 했으나, 도대체 저녀석이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는 찾아보지 않았다. 그런데 마침 어제!! 원치않게? 저녀석의 사용법에 대해 알게되었다 JSON객체에 내가 원하는 key가 있는지 찾아봐야할 때가 있었고... 난 그 방법을 잘못 사용하여 프로그램에 버그를 심게되었다.........으아... 이전 포스팅에서 Object의 길이구하는 방법을 알게되었고... 그와 비스무리하게 하면 되는줄 착각하고 아래와 같이 사용하여 버그를 탄생시켰다.!! ..ㄱ-;; 참... 그럴싸게 사용했다. JSON객체에 원하는 key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바로 hasOwnProperty를 사용해야 했다 찾으려하는 key가 존재하면 true를 반환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프로젝트의 데드라인은 이미 ..오래전에 지났다... 그래도 첫 프로젝트인 만큼 마무리는 해야하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오늘 알게 된 JSON객체의 길이(length) 구하는 방법. JSON이란?..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경량의 DATA-교환 형식이다. 이 형식은 사람이 읽고 쓰기에 용이하며, 기계가 분석하고 생성함에도 용이하다. http://www.json.org/json-ko.html 참고... 그렇다고 한다. array는 ['홍길동', '26', '서울특별시'] 같은 형태인 반면,JSON은 { '이름':'홍길동', '나이':'26', '거주지':'서울특별시'} 와 같다. 여기서 이름 은 key가 되고, 홍길동 은 valu..
react에서 render()의 return문 안에서 if와 같은 조건문은 사용이 안되기에 삼항연산자를 사용했다. 그러나 map의 내부라면 if나 for문은 사용 가능하다. react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내려주려면 props를 사용한다. 하위컴포넌트에서 상위컴포넌트의 값을 변경하고 싶다면, 상위컴포넌트에서 함수를 생성한다.(바인딩 필수) 해당 함수를 props로 내려줘서 하위 컴포넌트에서 전달받은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변경이 가능하다. 허나 flux, reflux, redux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단방향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현재는 mobx도 추가되었다.) Action 과 Store로 나눌 수 있는데, Action은 어떠한 액션(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정의 해 놓는 곳. Sto..
* react.js 란?? 페이스북이 만든 javascript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주로 Sing Page Application 개발에서 사용한다. react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지는 View를 담당한다. react의 특징으로는 '데이터의 흐름이 상위에서 하위로 전달되는 단방향' 이라는 점과, react만의 virtual DOM을 사용한다는 점 front개발은 그저 html로 구역을 나누고, css로 꾸미며, js로 여러 이벤트를 넣어서 보여주기만 하면 되면 끝으로 알고있었다. 더군다나 MVC아키텍쳐에서 View단의 데이터들을 다음 이동되는 페이지로 전달해주려면 back-end를 최소 한번은 거쳐야 데이터를 다음페이지로 전달해줄 수 있다고 알고있었다. 그런데 react는 달랐다. back-end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