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avascript eventloop
- client side rendering
- Browser API
- javascript module
- 자료구조
- express request body
- es6 module
- Event Loop
- DOM API
- typescript parcel tilde
- web server vs was
- request body undefined
- task queue
- first class citizen
- javascript first class citizen
- redux 사용 이유
- parcel resolver error
- centos7 설치
- 선형리스트
- 순차리스트
- body-parser
- server side rendering
- react
- Call stack
- 일급 객체
- 자료구조 정렬
- redux 특징
- 자료구조 queue
- react event bind
- parcel
- Today
- 7
- Total
- 533,018
비실이의 개발 성장기
linux(CentOS 7)에서 MySQL log 확인방법 본문
MySQL을 사용하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log파일을 열어 내용을 확인 후, 조치할 수 있습니다.
MySQL의 log 파일이름은 mysqld.log 입니다.
이 파일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겠습니다.
find /* -name mysqld.log 를 입력합니다.
/var/log 디렉토리에 있군요.
more /var/log/mysqld.log 를 입력하여 log 내용을 보겠습니다.
많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more 명령어 보단 tail 명령어를 사용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tail -f /var/log/mysqld.log 를 입력합니다.
tail -f 명령을 이용하면 글의 가장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며,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log 도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하게 쓰이는 명령어 입니다.
만약 log파일이 기록되는 위치를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는
my.cnf 파일에서 변경 가능합니다.
find /* -name my.cnf 로 파일을 찾아보겠습니다.
/etc 디렉토리에 있네요.
more /etc/my.cnf 명령어로 내용을 확인하겠습니다.
빨간 테두리 부분이 MySQL의 log파일 경로를 지정해주는 부분입니다.
아까 봤던 mysqld.log의 경로가 설정되어 있네요.
#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DB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걸리는 Query를 기록해주는 slow log 설정방법 (0) | 2016.12.11 |
---|---|
linux(CentOS 7)에서 MySQL log 확인방법 (0) | 2016.12.05 |
MySQL 계정 생성 관리 및 권한설정 (7) | 2016.12.04 |
0 Comments